20250929 오늘의 묵상
우성익
2025-09-29
추천 0
댓글 0
조회 21
《오늘의 묵상 / 역대하 12장 1절~16절》
1. 르호보암의 나라가 견고하고 세력이 강해지매 그가 여호와의 율법을 버리니 온 이스라엘이 본받은지라2. 그들이 여호와께 범죄하였으므로 르호보암 왕 제오년에 애굽 왕 시삭이 예루살렘을 치러 올라오니
3. 그에게 병거가 천이백 대요 마병이 육만 명이며 애굽에서 그와 함께 온 백성 곧 리비아와 숙과 구스 사람이 헤아릴 수 없이 많더라
4. 시삭이 유다의 견고한 성읍들을 빼앗고 예루살렘에 이르니
5. 그 때에 유다 방백들이 시삭의 일로 예루살렘에 모였는지라 선지자 스마야가 르호보암과 방백들에게 나아와 이르되 여호와께서 이같이 말씀하시기를 너희가 나를 버렸으므로 나도 너희를 버려 시삭의 손에 넘겼노라 하셨다 한지라
6. 이에 이스라엘 방백들과 왕이 스스로 겸비하여 이르되 여호와는 의로우시다 하매
7. 여호와께서 그들이 스스로 겸비함을 보신지라 여호와의 말씀이 스마야에게 임하여 이르시되 그들이 스스로 겸비하였으니 내가 멸하지 아니하고 저희를 조금 구원하여 나의 노를 시삭의 손을 통하여 예루살렘에 쏟지 아니하리라
8. 그러나 그들이 시삭의 종이 되어 나를 섬기는 것과 세상 나라들을 섬기는 것이 어떠한지 알게 되리라 하셨더라
9. 애굽 왕 시삭이 올라와서 예루살렘을 치고 여호와의 전 보물과 왕궁의 보물을 모두 빼앗고 솔로몬이 만든 금 방패도 빼앗은지라
10. 르호보암 왕이 그 대신에 놋으로 방패를 만들어 궁문을 지키는 경호 책임자들의 손에 맡기매
11. 왕이 여호와의 전에 들어갈 때마다 경호하는 자가 그 방패를 들고 갔다가 경호실로 도로 가져갔더라
12. 르호보암이 스스로 겸비하였고 유다에 선한 일도 있으므로 여호와께서 노를 돌이키사 다 멸하지 아니하셨더라
13. 르호보암 왕은 예루살렘에서 스스로 세력을 굳게 하여 다스리니라 르호보암이 왕위에 오를 때에 나이가 사십일 세라 예루살렘 곧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의 모든 지파 중에서 택하여 그의 이름을 두신 성에서 십칠 년 동안 다스리니라 르호보암의 어머니의 이름은 나아마요 암몬 여인이더라
14. 르호보암이 악을 행하였으니 이는 그가 여호와를 구하는 마음을 굳게 하지 아니함이었더라
15. 르호보암의 처음부터 끝까지의 행적은 선지자 스마야와 선견자 잇도의 족보책에 기록되지 아니하였느냐 르호보암과 여로보암 사이에 항상 전쟁이 있으니라
16. 르호보암이 그의 조상들과 함께 누우매 다윗 성에 장사되고 그의 아들 아비야가 그를 대신하여 왕이 되니라
Q.T
욕심이나 교만이 지나치면 결국 화를 부른다는 뜻의 “물이 가득 차면 넘치고, 가지가 무성하면 꺾인다.”는 속담이 있습니다. 이 속담처럼 사람은 풍요와 안정 속에서 자주 교만에 빠집니다. 교회의 어려운 일을 묵묵히 감당하던 사람이 직분을 맡은 후에는 교만한 본성을 드러냅니다. 오늘 본문의 르호보암이 이와 같았습니다.
솔로몬에 이어 유다의 왕이 된 르호보암은 3년간 하나님의 법도를 따라 행하여 나라를 견고하게 만들었습니다. 그러나 나라가 견고해지고 왕권이 안정되자 하나님의 율법을 버리고 교만에 빠지게 되었습니다. 하나님을 버린 결과는 즉각적인 심판으로 나타났습니다. 애굽 왕 시삭이 1,200대의 병거와 60,000명의 마병, 그리고 헤아릴 수 없는 군대를 이끌고 예루살렘을 침공해 왔습니다.
솔로몬은 애굽과 교역을 통해 군마와 병거를 들여왔지만, 하나님의 심판 앞에서는 쓸모가 없었습니다. 예루살렘은 침략당하고, 성전과 왕궁의 보물, 심지어 솔로몬이 만든 금 방패까지 모두 빼앗겨 버렸습니다.
그러나 르호보암과 고관들은 이 겸손히 회개하자, 하나님은 그들을 완전히 멸하지 않으시고 시삭의 종이 되게 하십니다. 하나님의 통치 아래 사는 것이 참된 복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하시려는 뜻이었습니다. 이처럼 교만은 온 유다를 죄로 이끌어 하나님의 진노를 불렀지만, 그들의 겸손한 회개는 공동체를 심판에서 건져내는 통로가 되었습니다.
‘나 한 사람’의 진심 어린 회개의 기도가 공동체를 살릴 수 있습니다. 매일 짧게라도 기도하는 시간을 꼭 가지십시오. 그리고 더 깊은 묵상의 자리를 사모하시기 바랍니다. 이것이 교만을 막고, 하나님의 은혜 안에 계속 거하는 비결이 될 것입니다.
댓글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