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3 오늘의 묵상
우성익
2025-10-03
추천 0
댓글 0
조회 18
《오늘의 묵상 / 역대하 16장 1절~14절》
1. 아사 왕 제삼십육년에 이스라엘 왕 바아사가 유다를 치러 올라와서 라마를 건축하여 사람을 유다 왕 아사에게 왕래하지 못하게 하려 한지라2. 아사가 여호와의 전 곳간과 왕궁 곳간의 은금을 내어다가 다메섹에 사는 아람 왕 벤하닷에게 보내며 이르되
3. 내 아버지와 당신의 아버지 사이에와 같이 나와 당신 사이에 약조하자 내가 당신에게 은금을 보내노니 와서 이스라엘 왕 바아사와 세운 약조를 깨뜨려 그가 나를 떠나게 하라 하매
4. 벤하닷이 아사 왕의 말을 듣고 그의 군대 지휘관들을 보내어 이스라엘 성읍들을 치되 이욘과 단과 아벨마임과 납달리의 모든 국고성들을 쳤더니
5. 바아사가 듣고 라마 건축하는 일을 포기하고 그 공사를 그친지라
6. 아사 왕이 온 유다 무리를 거느리고 바아사가 라마를 건축하던 돌과 재목을 운반하여다가 게바와 미스바를 건축하였더라
7. 그 때에 선견자 하나니가 유다 왕 아사에게 나와서 그에게 이르되 왕이 아람 왕을 의지하고 왕의 하나님 여호와를 의지하지 아니하였으므로 아람 왕의 군대가 왕의 손에서 벗어났나이다
8. 구스 사람과 룹 사람의 군대가 크지 아니하며 말과 병거가 심히 많지 아니하더이까 그러나 왕이 여호와를 의지하였으므로 여호와께서 왕의 손에 넘기셨나이다
9. 여호와의 눈은 온 땅을 두루 감찰하사 전심으로 자기에게 향하는 자들을 위하여 능력을 베푸시나니 이 일은 왕이 망령되이 행하였은즉 이 후부터는 왕에게 전쟁이 있으리이다 하매
10. 아사가 노하여 선견자를 옥에 가두었으니 이는 그의 말에 크게 노하였음이며 그 때에 아사가 또 백성 중에서 몇 사람을 학대하였더라
11. 아사의 처음부터 끝까지의 행적은 유다와 이스라엘 열왕기에 기록되니라
12. 아사가 왕이 된 지 삼십구 년에 그의 발이 병들어 매우 위독했으나 병이 있을 때에 그가 여호와께 구하지 아니하고 의원들에게 구하였더라
13. 아사가 왕위에 있은 지 사십일 년 후에 죽어 그의 조상들과 함께 누우매
14. 다윗 성에 자기를 위하여 파 두었던 묘실에 무리가 장사하되 그의 시체를 법대로 만든 각양 향 재료를 가득히 채운 상에 두고 또 그것을 위하여 많이 분향하였더라
Q.T
끝을 아름답게 맺는 것이야말로 인생의 진정한 복이라 뜻의 유종지미(有終之美)라는 말처럼 인생은 어떻게 출발했는가보다 어떻게 마무리하느냐가 더 중요합니다. 무리 화려하게 시작했어도 마지막이 무너진다면 그 인생은 실패로 기억됩니다. 반대로 비록 초라하게 출발했을지라도 끝을 신실하게 맺는 자는 복된 길을 걸었다고 평가받습니다.
믿음의 길도 마찬가지입니다. 시작의 열정보다 더 중요한 것은 끝까지 하나님을 의지하며 걸어가는 것입니다. 아사 왕은 초기에 하나님을 의지하여 놀라운 승리를 경험했지만, 말년에 사람을 의지하다가 결국 신실했던 삶을 무너뜨리고 말았습니다.
이에 선견자 하나니는 아사가 하나님을 의지하지 않은 것을 꾸짖으며 앞으로 전쟁이 그치지 않을 것이라 경고했습니다. 그러나 아사는 회개하지 않고 오히려 분노하여 하나니를 옥에 가두고 백성에게까지 압박을 가했습니다. 결국 통치 39년에 발에 중병이 들었을 때에도 그는 끝까지 하나님을 찾지 않고 의사들에게만 의지하다가 죽음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아사의 삶은 우리에게 분명한 경고입니다. 평안이 길어질수록 믿음은 무뎌질 수 있고, 형통할 때일수록 더욱 하나님을 의지해야 합니다. 또한 말씀의 책망은 불편할 수 있지만, 그것은 우리를 살리려는 하나님의 사랑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하나님은 여전히 “전심으로 자기에게 향하는 자를 두루 감찰하시는”(9절) 분이십니다.
원하기는 평안할 때에도, 위기 앞에서도, 마지막 순간까지 오직 주님만 의지하여 형통의 삶을 살아가는 믿음의 사람, 중앙의 성도들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댓글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