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4 오늘의 묵상
운영자
2025-08-14
추천 0
댓글 0
조회 14
《오늘의 묵상 / 스가랴 8장 14절~23절》
14. 만군의 여호와가 이같이 말하노라 너희 조상들이 나를 격노하게 하였을 때에 내가 그들에게 재앙을 내리기로 뜻하고 뉘우치지 아니하였으나15. 이제 내가 다시 예루살렘과 유다 족속에게 은혜를 베풀기로 뜻하였나니 너희는 두려워하지 말지니라
16. 너희가 행할 일은 이러하니라 너희는 이웃과 더불어 진리를 말하며 너희 성문에서 진실하고 화평한 재판을 베풀고
17. 마음에 서로 해하기를 도모하지 말며 거짓 맹세를 좋아하지 말라 이 모든 일은 내가 미워하는 것이니라 여호와의 말이니라
18. 만군의 여호와의 말씀이 내게 임하여 이르시되
19. 만군의 여호와가 이같이 말하노라 넷째 달의 금식과 다섯째 달의 금식과 일곱째 달의 금식과 열째 달의 금식이 변하여 유다 족속에게 기쁨과 즐거움과 희락의 절기들이 되리니 오직 너희는 진리와 화평을 사랑할지니라
20. 만군의 여호와가 이와 같이 말하노라 다시 여러 백성과 많은 성읍의 주민이 올 것이라
21. 이 성읍 주민이 저 성읍에 가서 이르기를 우리가 속히 가서 만군의 여호와를 찾고 여호와께 은혜를 구하자 하면 나도 가겠노라 하겠으며
22. 많은 백성과 강대한 나라들이 예루살렘으로 와서 만군의 여호와를 찾고 여호와께 은혜를 구하리라
23. 만군의 여호와가 이와 같이 말하노라 그 날에는 말이 다른 이방 백성 열 명이 유다 사람 하나의 옷자락을 잡을 것이라 곧 잡고 말하기를 하나님이 너희와 함께 하심을 들었나니 우리가 너희와 함께 가려 하노라 하리라 하시니라
Q.T
연인이나 부부가 한때는 열정과 설렘이 있었지만, 시간이 지나며 감정이 무뎌지고 습관만 남은 상태를 ’권태기‘라 합니다. 권태기의 연인이나 부부는 상대방에 대한 애정이 줄고, 데이트나 대화가 의무처럼 느낍니다. 신앙생활도 마찬가지입니다. '영적인 권태기'에 빠지게 되면 기다려졌던 예배는 의무처럼 느끼고 숨처럼 자연스러웠던 기도는 버거운 숙제가 됩니다. 스가랴 시대의 이스라엘 백성들이 바로 그런 모습이었습니다.
70년간의 끔찍했던 바벨론 포로 생활을 마치고 고향으로 돌아왔을 때까지만 해도 설렘과 열정으로 성전을 재건하려 했습니다. 그러나 현실은 녹록지 않았습니다. 무너진 도시, 지지부진한 재건, 반복되는 실망으로, 그들의 영혼은 점점 나태해졌고, 결국 '영적인 권태기'에 빠지게 되었습니다. 영적인 권태기는 그들로 하여금, 예배를 소홀하게 하였고, 금식을 귀찮아했으며 신앙 생활을 '의무감'으로 하려 하였습니다.
그런 그들에게 하나님은 말씀하십니다. “이제 내가 다시 예루살렘과 유다 족속에게 은혜를 베풀기로 뜻하였나니 너희는 두려워하지 말지니라”(15절) 하나님은 권태기에 빠진 백성을 책망만 하시지 않습니다. 오히려 다시 은혜를 베풀기로 뜻하셨다고 하십니다. 하지만, 조건이 있었습니다. 그것은 이웃과 더불어 진실을 말하고, 공정하게 재판하며, 서로 신뢰하는 마음으로 평화를 이루는 것이었습니다. 이는 복을 받을 자격을 갖추라는 말씀이며, 하나님의 성품을 드러내는 삶을 살아야 함을 뜻했습니다.
하나님은 복을 받을 자격을 갖춘 자들을 통해 열방이 하나님을 찾게 하시고, 열방이 그들의 옷자락을 붙잡고 그들을 통해 하늘의 축복이 흐르도록 하시겠다고 약속하셨습니다. 오늘을 사는 우리 역시 형식적인 신앙인이 아닌, 복을 받을 자격을 갖춘 하나님의 백성이 되어야 합니다. 오랜 금식 끝에 지친 사람처럼, 영적 무기력 속에서 빠져 살아서는 안됩니다.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의 삶 역시, ‘하나님이 함께하시는’ 살아있는 증거가 되어야 합니다. 세상이 붙잡고 싶어 하는 그 ‘옷자락’이 되어야 합니다.
원하기는 과거의 실패를 넘어 선을 행하시는 하나님을 신뢰함으로, 우리의 삶이 하나님의 살아 계심을 드러내는 살아있는 증거가 되기를 바랍니다. 중앙의 성도들이 진실과 평화를 사랑하며, 세상이 붙잡고 싶어 하는 그 옷자락이 되는 복된 공동체가 되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2025 우성익. 본 콘텐츠는 진부중앙교회 ‘오늘의 묵상’에 게시된 저작물로,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비영리적 인용을 제외한 모든 복제, 배포, 전재, 2차 편집을 금하며, 사용 시 반드시 출처를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댓글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