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6 오늘의 묵상
운영자
2025-03-26
추천 0
댓글 0
조회 6
《오늘의 묵상 / 누가복음 15장 11~32절》
11. 또 이르시되 어떤 사람에게 두 아들이 있는데12. 그 둘째가 아버지에게 말하되 아버지여 재산 중에서 내게 돌아올 분깃을 내게 주소서 하는지라 아버지가 그 살림을 각각 나눠 주었더니
13. 그 후 며칠이 안 되어 둘째 아들이 재물을 다 모아 가지고 먼 나라에 가 거기서 허랑방탕하여 그 재산을 낭비하더니
14. 다 없앤 후 그 나라에 크게 흉년이 들어 그가 비로소 궁핍한지라
15. 가서 그 나라 백성 중 한 사람에게 붙여 사니 그가 그를 들로 보내어 돼지를 치게 하였는데
16. 그가 돼지 먹는 쥐엄 열매로 배를 채우고자 하되 주는 자가 없는지라
17. 이에 스스로 돌이켜 이르되 내 아버지에게는 양식이 풍족한 품꾼이 얼마나 많은가 나는 여기서 주려 죽는구나
18. 내가 일어나 아버지께 가서 이르기를 아버지 내가 하늘과 아버지께 죄를 지었사오니
19. 지금부터는 아버지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감당하지 못하겠나이다 나를 품꾼의 하나로 보소서 하리라 하고
20. 이에 일어나서 아버지께로 돌아가니라 아직도 거리가 먼데 아버지가 그를 보고 측은히 여겨 달려가 목을 안고 입을 맞추니
21. 아들이 이르되 아버지 내가 하늘과 아버지께 죄를 지었사오니 지금부터는 아버지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감당하지 못하겠나이다 하나
22. 아버지는 종들에게 이르되 제일 좋은 옷을 내어다가 입히고 손에 가락지를 끼우고 발에 신을 신기라
23. 그리고 살진 송아지를 끌어다가 잡으라 우리가 먹고 즐기자
24. 이 내 아들은 죽었다가 다시 살아났으며 내가 잃었다가 다시 얻었노라 하니 그들이 즐거워하더라
25. 맏아들은 밭에 있다가 돌아와 집에 가까이 왔을 때에 풍악과 춤추는 소리를 듣고
26. 한 종을 불러 이 무슨 일인가 물은대
27. 대답하되 당신의 동생이 돌아왔으매 당신의 아버지가 건강한 그를 다시 맞아들이게 됨으로 인하여 살진 송아지를 잡았나이다 하니
28. 그가 노하여 들어가고자 하지 아니하거늘 아버지가 나와서 권한대
29. 아버지께 대답하여 이르되 내가 여러 해 아버지를 섬겨 명을 어김이 없거늘 내게는 염소 새끼라도 주어 나와 내 벗으로 즐기게 하신 일이 없더니
30. 아버지의 살림을 창녀들과 함께 삼켜 버린 이 아들이 돌아오매 이를 위하여 살진 송아지를 잡으셨나이다
31. 아버지가 이르되 얘 너는 항상 나와 함께 있으니 내 것이 다 네 것이로되
32. 이 네 동생은 죽었다가 살아났으며 내가 잃었다가 얻었기로 우리가 즐거워하고 기뻐하는 것이 마땅하다 하니라
Q.T
자식이 많은 부모는 걱정이 끊이지 않는다는 뜻의 "가지 많은 나무 바람 잘 날 없다"는 속담이 있습니다. 오늘 본문도 각각 다른 문제로 바람 잘 날 없는 두 아들을 둔 아버지가 등장합니다. 먼저 작은아들은 유산을 요구하여 정정한 아버지를 죽은 사람 취급하는 무례를 범했고, 방탕하게 사느라 받은 유산을 탕진하는 죄를 짓습니다. 이후 자신의 잘못된 행동을 뒤늦게 깨닫고 아버지에게로 돌아가기를 결심합니다.
아버지는 잘못된 행동을 뒤우치고 돌아온 둘째 아들을 용서합니다. 둘째 아들을 용서하는 아버지의 모습을 보고 있던 큰 아들은 아버지의 행동을 못마땅해 했습니다. 그는 가산을 지킨 자신은 소홀히 대하고 가산을 탕진한 아우를 후하게 대접한다고 화를 냅니다. 작은아들 못지않게 아버지의 위신을 떨어뜨리는 무례한 행동이었습니다. 둘째 아들이 '집 나간 탕자'였다면, 첫째 아들은 '집 안에 있던 탕자'인 셈이었습니다. 바람 잘 날 없었던 집안의 아버지는 죽은 줄 알았던 아들이 돌아왔으니 기뻐하는 것이 마땅하다며 큰아들을 설득했지만, 큰 아들은 아버지를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나는 '집 나간 탕자'와 '집 안에 있던 탕자' 중 어느 쪽에 가까운 삶이었나요? 하나님은 '집 나간 탕자'와 '집 안에 있던 탕자' 모두 사랑으로 품으시는 분이십니다. 하지만, 두 자녀 중 한 자녀라도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지 않겠습니까? 그리고 그 주인공이 우리가 된다면, 우리는 하나님의 신뢰를 얻는 그리스도인으로 오늘을 살아가게 될 것입니다.
원하기는 선포된 하나님의 말씀을 기억하여 우리의 삶이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여 주님의 품 안에서 참된 기쁨과 은혜를 누리는 복된 한 날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댓글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