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부중앙교회

전체 메뉴 바로가기 로그인 바로가기

오늘의 묵상

이전 페이지 이동 홈 화면 바로가기
20250521 오늘의 묵상
운영자 2025.5.21 조회 2

《오늘의 묵상 / 에스더 9장 1절~19절》

1. 아달월 곧 열두째 달 십삼일은 왕의 어명을 시행하게 된 날이라 유다인의 대적들이 그들을 제거하기를 바랐더니 유다인이 도리어 자기들을 미워하는 자들을 제거하게 된 그 날에
2. 유다인들이 아하수에로 왕의 각 지방, 각 읍에 모여 자기들을 해하고자 한 자를 죽이려 하니 모든 민족이 그들을 두려워하여 능히 막을 자가 없고
3. 각 지방 모든 지방관과 대신들과 총독들과 왕의 사무를 보는 자들이 모르드개를 두려워하므로 다 유다인을 도우니
4. 모르드개가 왕궁에서 존귀하여 점점 창대하매 이 사람 모르드개의 명성이 각 지방에 퍼지더라
5. 유다인이 칼로 그 모든 대적들을 쳐서 도륙하고 진멸하고 자기를 미워하는 자에게 마음대로 행하고
6. 유다인이 또 도성 수산에서 오백 명을 죽이고 진멸하고
7. 또 바산다다와 달본과 아스바다와
8. 보라다와 아달리야와 아리다다와
9. 바마스다와 아리새와 아리대와 왜사다
10. 곧 함므다다의 손자요 유다인의 대적 하만의 열 아들을 죽였으나 그들의 재산에는 손을 대지 아니하였더라
11. 그 날에 도성 수산에서 도륙한 자의 수효를 왕께 아뢰니
12. 왕이 왕후 에스더에게 이르되 유다인이 도성 수산에서 이미 오백 명을 죽이고 멸하고 또 하만의 열 아들을 죽였으니 왕의 다른 지방에서는 어떠하였겠느냐 이제 그대의 소청이 무엇이냐 곧 허락하겠노라 그대의 요구가 무엇이냐 또한 시행하겠노라 하니
13. 에스더가 이르되 왕이 만일 좋게 여기시면 수산에 사는 유다인들이 내일도 오늘 조서대로 행하게 하시고 하만의 열 아들의 시체를 나무에 매달게 하소서 하니
14. 왕이 그대로 행하기를 허락하고 조서를 수산에 내리니 하만의 열 아들의 시체가 매달리니라
15. 아달월 십사일에도 수산에 있는 유다인이 모여 또 삼백 명을 수산에서 도륙하되 그들의 재산에는 손을 대지 아니하였고
16. 왕의 각 지방에 있는 다른 유다인들이 모여 스스로 생명을 보호하여 대적들에게서 벗어나며 자기들을 미워하는 자 칠만 오천 명을 도륙하되 그들의 재산에는 손을 대지 아니하였더라
17. 아달월 십삼일에 그 일을 행하였고 십사일에 쉬며 그 날에 잔치를 베풀어 즐겼고
18. 수산에 사는 유다인들은 십삼일과 십사일에 모였고 십오일에 쉬며 이 날에 잔치를 베풀어 즐긴지라
19. 그러므로 시골의 유다인 곧 성이 없는 고을고을에 사는 자들이 아달월 십사일을 명절로 삼아 잔치를 베풀고 즐기며 서로 예물을 주더라

Q.T
재앙이 복으로 바뀐다는 뜻을 지닌 전화위복(轉禍爲福)이란 사자성어가 있습니다. 이 말은 역경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극복하느냐에 따라 인생이 바뀔 수 있다는 깊은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오늘 본문인 에스더 9장 1-19절은 유다 백성들이 죽음의 위기에서 벗어나 오히려 승리를 거두고 부림절의 기쁨을 누리는 말 그대로, 전화위복(轉禍爲福)의 장면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부림절은 유다인을 죽이려 했던 하만 한 사람의 제거로 생긴 절기가 아니라, 하만의 권력에 빌붙어 유다인을 죽이려 공모했던 모든 대적을 제거하여 화근(禍根)이 사라진 것을 기념하는 절기였습니다. 유다인이 이런 기쁨을 누리게 된 것은 먼저 모르드개를 시작으로 에스더와 페르시아에 거주하는 모든 유다인이 한마음과 한 뜻으로 하나님의 공의를 기도했기 때문입니다.

오늘 유다인의 기도를 보면서 우리의 기도를 돌아보아야 합니다. 유다인들은 위기의 상황에서 도움이 하나님에게 있다는 사실을 알고 하나님의 공의가 페르시야 가운데 이루어지기를 위해 기도했습니다. 그때 하나님은 시65:1절의 말씀과 같이 그들이 바라던 소망이 이루어주셨습니다. 주님은 우리에게 마6:33절을 통해 먼저 그의 나라와 그의 의를 구하라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우리의 기도는 어떻습니까? 정한수를 떠놓고 비는 복을 비는 사람들처럼, 불상 앞에서 복을 비는 사람들처럼 일신의 영달과 자손의 잘됨만을 위해 기도하지는 않았는지요? 주님은 이런 기도는 이방인들의 기도라 했습니다.

우리의 기도는 오늘 모르드개를 비롯한 유다인들이 드렸던 기도처럼, 주님의 겟세마네 기도처럼 하나님의 뜻이 이루어지기를 기도해야 합니다. 그리고 기도의 응답이 있다면, 응답을 통해 하나님의 공의를 실천해야 합니다 오늘 유다인들은 자신들의 대적을 처리하면서 그들의 재산에는 손을 대지 않았습니다. 만약 그들이 재산에 욕심을 내었다고 하면, 하나님의 공의는 사라졌을 것입니다. 우리는 이것을 조심해야 합니다.

기도의 응답을 통해 하나님의 공의와 영광이 나타나야 합니다. 나의 목적과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 행동하는 것을 육신의 정욕을 채우는 것입니다. 오늘을 살아가는 믿음의 사람은 사도바울의 고백과 같이 사나 죽으나 주를 위해 살려고 노력해야 합니다.(롬14:8절) 예수의 마음을 품어 예수님이라면 어떻게 기도하고, 어떻게 예배하며, 어떻게 행동할지 고민하며 살아가야 합니다.(빌2:5)

하나님은 예수의 마음을 품어 하나님의 공의를 위해 살아가는 우리를 기적의 주인공으로 삼으실 것입니다. 유다백성들을 높이신 것처럼 우리를 열방 중에 높이실 것입니다. 원하기는 선포된 말씀을 기억하여 주님의 전화위복을 경험하며 오늘을 살아가는 믿음의 사람, 중앙의 성도들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댓글 0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