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0514 오늘의 묵상
- 운영자 2025.5.14 조회 14
-
《오늘의 묵상 / 에스더 2장 19~3장 6절》
19. 처녀들을 다시 모을 때에는 모르드개가 대궐 문에 앉았더라
20. 에스더는 모르드개가 명령한 대로 그 종족과 민족을 말하지 아니하니 그가 모르드개의 명령을 양육 받을 때와 같이 따름이더라
21. 모르드개가 대궐 문에 앉았을 때에 문을 지키던 왕의 내시 빅단과 데레스 두 사람이 원한을 품고 아하수에로 왕을 암살하려는 음모를 꾸미는 것을
22. 모르드개가 알고 왕후 에스더에게 알리니 에스더가 모르드개의 이름으로 왕에게 아뢴지라
23. 조사하여 실증을 얻었으므로 두 사람을 나무에 달고 그 일을 왕 앞에서 궁중 일기에 기록하니라
1. 그 후에 아하수에로 왕이 아각 사람 함므다다의 아들 하만의 지위를 높이 올려 함께 있는 모든 대신 위에 두니
2. 대궐 문에 있는 왕의 모든 신하들이 다 왕의 명령대로 하만에게 꿇어 절하되 모르드개는 꿇지도 아니하고 절하지도 아니하니
3. 대궐 문에 있는 왕의 신하들이 모르드개에게 이르되 너는 어찌하여 왕의 명령을 거역하느냐 하고
4. 날마다 권하되 모르드개가 듣지 아니하고 자기는 유다인임을 알렸더니 그들이 모르드개의 일이 어찌 되나 보고자 하여 하만에게 전하였더라
5. 하만이 모르드개가 무릎을 꿇지도 아니하고 절하지도 아니함을 보고 매우 노하더니
6. 그들이 모르드개의 민족을 하만에게 알리므로 하만이 모르드개만 죽이는 것이 부족하다고 생각하고 아하수에로의 온 나라에 있는 유다인 곧 모르드개의 민족을 다 멸하고자 하더라
Q.T
선한 행동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즉각적인 보상을 받지 못하거나, 악한 자들이 오히려 높아지는 모습을 볼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세상이 불공평하다 느끼게 됩니다. 하지만, 사필귀정(事必歸正)이란 말처럼 불의가 잠시 승리할 수 있어도 결국은 올바른 길로 돌아가게 되어 있음을 오늘의 본문은 우리에게 증언하고 있습니다.
페르시아의 수산궁에서 문지기를 하고 있던 에스더의 삼촌, 모르드개의 귀에 아하수에로 왕을 암살하려는 음모의 소식이 들립니다. 음모의 주동자는 왕에게 원한을 갖고 있던 '두명의 내시'였습니다. 모르드개는 왕을 암살하려는 음모를 직접 고변하기보다 왕후 에스더에게 알립니다. 에스더를 통해 음모를 전해들은 아하수에로 왕은 음모를 조사하여 내시를 처형하였지만, 음모를 막은 모르드개에게 아무런 보상을 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아말렉 출신 하만이 등용되면서 모르드개와 유다 사람의 운명이 위태롭게 됩니다.
왕의 신임을 얻고 높은 벼슬에 오른 하만의 위세는 하늘을 찔렀고, 모든 사람이 신을 대하듯 그에게 엎드려 절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모르드개는 하만에게 무릎 꿇지 않습니다. 이 사실을 알고 분노한 하만이 모르드개와 유다 사람을 모두 없앨 궁리를 하게 됩니다.
이처럼 세상에는 불공정한 일이 많고, 심지어 착한 일을 하고 비난 받기도 합니다. 하지만 낙심하거나 포기하지 마십시요. 갈라디아서 6장 9절에 보면 "우리가 선을 행하되 낙심하지 말지니 피곤하지 아니하면 때가 이르매 거두리라."고 했습니다. "사필귀정"이란 말처럼 하나님이 정의는 반드시 이루어집니다. 그러므로 낙심하거나 포기하지 말고 우리의 한 일을 정확히 보상하신 날을 기대하며, 내가 서있는 그 자리에서 누가 알아주지 않더라도 주님의 자녀 답게 정직하고 성실하게 옳은 일을 계속해 나가는 믿음의 사람, 중앙의 성도들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
댓글 0